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지식/Network

블루투스의 원리와 역사

안녕하세요.


요즘은 블루투스가 많이 대중화가 되었기 때문에 아마 한번쯤은

다들 사용해보셨을텐데요.

오늘은 그 블루투스의 원리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블루투스란, 근거리 통신으로 10m 정도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예를들면 노트북이나 핸드폰 등에 연결해서 사용을 할 수가 있는데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주로 

블루투스를 쓴다면 무선 이어폰을 사용할 때 쓰게 될 것입니다.




블루투스의 경우 다른 기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편이고, 전력 소모도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노트북이나 핸드폰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블루투스는 왜 이런 이름이 붙여졌을까요?

블루투스란 이름은 덴마크의 왕이었던 Harald Blatand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이 왕은 10세기 경에 노르웨이와 덴마크를 통합한 왕으로,

'파란 치아의 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왜 파란 치아를 가지고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블루베리를 좋아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설과, 의치가 파란색이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는데요,

재밌는 것은 이 왕의 이름을 영어로 했을 때

블루투스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 블루투스 기술을 개발한 것은 SIG(Special Internet Group)이라는 단체에 의해서

만들어졌는데요. 1994년에 스웨덴의 에릭슨은 핸드폰과 그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이 연구를 바탕으로 1998년에

IBM, 노키아, 도시바, 인텔, 에릭슨 등이 힘을 합쳐 하나의 그룹을 만들게 됩니다.

그 그룹이 바로 SIG입니다. 현재 기준 회원사는  3만개 이상이 되었다고 합니다.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의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하고 있는데, ISM은 과학, 의료, 산업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합니다. 

'컴퓨터 지식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에 대해서  (2) 201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