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정리 #2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정리 #2


18. IP TV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TV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


1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 폐기 목록)

폐기된 인증서를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그 목록을 배포, 공표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주로 인증기관에서 관리하며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인증서와 함께 전달한다.


20. Software Escrow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유지보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 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을 의미


21. CCL(Creative Common License, 저작물 이용 약관)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이용방법 및 조건을 표기하는 저작물 이용약관이다.

저작자 표시(BY), 비영리($), 변경금지(=), 동일조건 변경허락(>)의 4가지로 분류된다.


22. 정부 개인식별 번호(Government-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G-PIN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민등록번호 대체 수단으로 공공기관에서 사용해야 한다.

민간부분에서 사용 중인 인터넷 개인 식별 번화와 연계하여 개인이 하나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23. SSL(Secure Socket Layer)

데이터를 송신하는 두 컴퓨터 사이, TCP/IP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HTTP, TELNET, FTP 등)

사이에 위치하여 인증, 암호화, 무결성을 보장하는 업계 표준 프로토콜


24.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대표적인 비밀키 암호화 기법, 56비트의 암호/복호 키 이용, 74 비트 평문을 IBM사가 개발하여

미국 국방성에 의해 채택되었고 암호화 복호화 키가 동일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25 DRM(Digial Rights Management)

데이터의 안전한 배포를 활성하하거나 불법 배포를 방지하여 인터넷이나 기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26.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데이터를 각 반송파가 직교 관계에 있는 다수 부반송파에 나누어 실어 다중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 고속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802.11, Wireless LAN, DMB, PLC, xDSL, 4G 이동 통신, 와이브로 등


27. ONS(Object Naming Service)

사물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

RFID 태그에 내장되어 있는 제품의 고유 번호 표준인 EPC(Electronic Product Code)를 통해 저장


28. 침입 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컴퓨터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 남용, 오용 등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29.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고주파(HF)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Ecma 340, ISO/IEC 18092 표준으로,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RFID 기술의 일종

13.56MHz 주파수를 이용해 10초 안에서 최고 424K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결제, 정보전송, 교통, 잠금장치 등으로 활용된다.


30. Mobile Computing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운 네트워크 접속, 업무 처리가 가능한 환경을 말한다.


31. 저작권 (Copyright)

원저작물 창작자가 저작물의 사용과 배포에 있어 일반적으로 제한된 시간동안 배타적 권리를 인정하는 법적인 권리


32. 데이터 유출 방지(DLP; Data Leakage/Loss Prevention)

사내 직원이 사용하는 PC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행위를 탐지,

통제해서 외부로의 유출을 사전에 막는다. 내부정보 유출 방지 솔루션


33. Giga Fi

60GHz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가급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홈 네트워크나 실내 무선랜 지원에 적합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34. Proxy Server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서버로 방화벽 기능과 캐시 기능 수행

Firewall 기능, 캐시 기능이 있다.


35. N-Screen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


36.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고대역폭 디지털 콘텐츠 전송 보호)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 송수신 간 고대역폭 비디오 암호화 전송을 보호하기 위한 규격이다.

모든 장비는 컨텐츠 보호 기관으로부터 고유의 비밀 장비 키를 부여 받는다.


37.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서비스의 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네트워크에서 일정 기준 이하의 지연시간이나 데이터 손실률 등을 보증하기 위한

서비스 규격이다.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트래픽을 먼저 전송한다.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화상회의, 영상 전화, 동영상 전송 등의 실시간 프로그램은 대역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