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정리 여섯번째 시간입니다.
96.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지리적으로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 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 위성을 이용해 모든 사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
97. Spam
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작위로 송신된 이메일 메시지를 의미
98. Cyber Stalking
인터넷을 이용해 악의적인 의도로 상대방의 정보를 훔쳐보면서
지속적으로 공포감이나 불안감 등의 유발하는 행위
99. Phishing
신뢰할 수 있는 사람, 기업이 보낸 메시지로 가장하여 사용자의 개인 신용 정보를
빼내는 수법을 의미. Social Engineering의 한 종류
100. Bitcoin
온라인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디지털 화폐로, 2009년에 만들어졌으나 개발자는 분명치 않다.
계좌를 '지갑'이라 부르는데 사용자들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지갑'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뱅킹으로 계좌하듯이 비트코인을 주고받는다.
101. Snooping
네트워크 상에서 남의 정보를 염탐하여 불법으로 가로채는 행위를 말한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의 정보를 엿보면서 개인적인
메신저 내용, 로그인 정보를 몰래 획득한다.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102. Dyre Malware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추하는 악성코드로, 트로이 목마의 한 종류이다. 주로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로
유포되어 사용자가 첨부파일을 실행시키면 컴퓨터의 정보를 수집하고 보안 프로그램을 무력화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103. Dropper
정상적인 파일 등에 트로이 목마나 웜, 바이러스를 숨기고 있는 Malware 구성의 프로그램이다.
104. Memory Hacking
컴퓨터 메모리(주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위조, 변조하는 트래킹 해킹 기법으로 정상적인
인터넷 뱅킹 사이트를 이용했음에도 이체 과정에서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변조하거나 보안카드의 비밀번호를 빼내어 돈을 빼돌린다.
105. Smishing
무료 쿠폰이나 모바일 초대장 등의 문자메시지를 보낸 후 메시지에 있는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를 설치하여 금융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106. Spyware
적절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또는 적절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어 불편을 야기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107. Worm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신을 복제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높임으로써 결국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바이러스의 일종. DDos,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슬래머 등이 Worm의 종류이다.
108.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상의 음성 전송이란 의미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여러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성도 뛰어나며,
기존 전화에 비하여 요금도 저렴하다.
109. Cracking
어떤 목적을 가지고 타인의 시스템에 불법으로 침입하여 정보를 파괴하거나 정보의 내용을
자신의 이익에 맞게 변경하는 행위이다.
110. Trojan Horse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프로그램 내에 숨어 있다가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활성화되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자기 복제 능력은 없다.
111. Hoax
실제로는 악성 코드로 행동하지 않으면서 겉으로는 악성코드인 것처럼 가장하여 행동하는 소프트웨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