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 - Ubuntu 공유폴더 설정하기
Windows 10 - Ubuntu 공유폴더 설정하는 방법
각자 공유폴더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소스 코드 작업을 할 때
일단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vi 환경보다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들은 또 다른 이유에 의해서
공유폴더 설정을 필요로 하는 분들이 있을 수가 있겠지요?
그럼 본격적으로 Virtual Box를 통해서 Windows 10 - Ubuntu 간에 공유폴더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우선 본인이 공유하고 싶은 폴더를 선택합니다.
D:\C_program 저는 이 폴더를 선택했는데요, C프로그램을 주로 공유 폴더를 통해서 넘기기 때문에
폴더 이름을 이렇게 지었던 것 같습니다.
2. Virtual Box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가상 Ubuntu를 선택한 다음에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설정 창이 열리면 왼쪽에 메뉴 중에서 공유 폴더를 클릭합니다.
원래는 공유 폴더 목록에 아무 것도 없을 테지만, 저는 이미 설정이 되어 있어서 한 개의 공유폴더가 보이네요
아무 것도 없어도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빨간색 네모 박스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4. 공유 추가 창이 열리는데요, 여기서 폴더 경로에는 아까 선택한 폴더의 경로를 지정하고,
아래 메뉴 중에서는 자동 마운트와 항상 사용하기를 체크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5. 가상 Ubuntu를 실행시킨 다음에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터미널을 실행하는 단축키는 Ctrl + Alt + t입니다.
6. 위와 같이 sudo mkdir /mnt/share 를 입력합니다.
이미 만들어두셨다면
mkdir: '/mnt/share'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파일이 있습니다
라는 에러 메시지가 뜰 텐데요,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7.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mount -t vboxsf C_program /mnt/share
여기서 중요한 것은 C_program입니다.
아까 각자 공유 폴더 설정할 때 폴더 이름을 그대로 입력해야 합니다.
가령 share 라는 폴더를 사용했다면
sudo mount -t vboxsf share /mnt/share 라고 해야 되겠지요?
8. 여기까지 햇다면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cd /mnt/share 명령어를 사용해서 해당 폴더로 change directory를 해보겠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아주 잘 되네요.
참고로, Ubuntu를 재부팅 할 경우
sudo mount -t vboxsf share /mnt/share
이 명령어는 다시 입력을 해야 합니다.. 번거롭지만..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는데 그건 다음에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