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7년 신기술 용어 정리 #3

2017년 신기술 용어 정리 세번째 시간입니다.


24.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SED; Software-Defined Everything)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E)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정의 관련 기술을 하나로 묶어 통칭하는 용어다. 데이터 센터, 통신망, 컴퓨터 등을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을 통해 가상화함으로써 직접 하나하나 명령어를 입력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닌, 프로그래밍을 통한 지능적인 제어로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통신 설비 및 네트워크 운용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가지지만 높은 수준의 보안을 필요로 한다.

SDN, SDDC, SDC, SDS, SDF 등의 기술들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에 속한다.


25.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SDDC; Software-Defined Data Center)

각종의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센터의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보안장비 등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고, 이를 인적 자원의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어/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SDDC)는 효율성과 운영의 편리성을 위해 등장하였고, 이로 인해 특정 하드웨어와 상관없이 독립적이며, 실제 물리적 환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26. 스레드 프로토콜 (Thread protocol)

2014년 구글사의 주도로 설립된 스레드 그룹(Thread Group)에서 개발한 통신 규약으로, IEEE 802.15에서 표준을 제정한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을 기반으로 스마트 홈 기기 간에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는 무선 프로토콜이다. 128비트 주소 체계인 IPv6를 기반으로 하며, AES를 적용하여 보안기능을 강화했으며,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 지그비의 전력 기능을 가지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스레드 그룹에는 구글의 네스트 랩스, 프리스케일, 퀄컴, 삼성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네스트 랩스는 스레드 프로토콜이 사용된 도어락과 온도 조절기 등의 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27. 스마트 공장 (Smart Factory)

제품의 기획과 설계부터 유통/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생산의 모든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과 제품 품질의 향상, 고객의 만족도 증대 등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한다. 제품의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을 활용하여 모의실험을 함으로써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장 내 설비와 기기들에 사물 인터넷을 설치하여 기기 간에 정보 교환을 통해 인적 자원의 소모를 최소화 시키고, 기기들이 보내는 실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공장 내에 있을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미리 예방/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자재, 재고량, 판매 상품의 위치 등을 추적/분석하여 공장의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28. 스마트 데이터 (Smart Data)

스마트 데이터란 단순 수집된 빅데이터에서 추출된 실제적인 가치를 지닌 유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스마트 데이터는 3가지의 특성을 가지는데, 빅데이터의 거대한 자료 안에서 정확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는 정확성과, 스마트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자료를 통해 바로 행동할 수 있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행 가능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빠르게 정보를 분석하는 신속성이 있다.


29. 스마트 도시(smart city)

기존의 U-city에서 사물 인터넷과 인공 지능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개념으로 최신 정보통신기술들을 활용하여 도시의 자산들을 지능적으로 관리/운용하고,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스마트 도시는 사물 인터넷이나 사이버 물리 시스템, 빅데이터 솔루션 등의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로/수도/전기/항만 등 도시의 모든 시설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30. 시민 해킹 (civic hacking)

사회 공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CT 개발자와 시민 등의 다양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ICT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시민 해킹은 정부가 하는 일을 돕고, 도시를 더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드는 행위로 크게 정부의 공공정보를 활용하는 열린 정부 부문과 시민들이 직접 정보를 교류하는 공동체 활동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2009년 9월 코드포아메리카를 시발점으로 멕시코와 일본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으며, 국내에는 코드나무와 코드포서울이 시민 해킹 활동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민해킹이 정치에서 멀어진 시민들이 직접민주주의에 참여하는 길을 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31. 안시 루멘

프로젝터의 밝기 구별을 위해 미국 표준 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의 표준에서 제시한 휘도의 측정 단위를 말한다. 안시 루멘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ANSI 표준 ANSI/NAPM IT7.228-1997과 ANSI/PIMA IT7.227-1998은 2003년 폐지되었으나, 이와 동일한 내용이 국제 전기 표준 회의의 표준 IEC 61947-1과 IEC 61947-2의 프로젝터 밝기 측정 방법에 기술되어 있다. 안시 루멘 값은 프로젝터가 스크린에 투사하는 백색 화면을 9개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나누어, 각 사각형의 중심점의 밝기를 구해 평균을 구한 뒤 투사된 백색 화면의 크기를 반영하여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600~1000 안시 루멘의 프로젝터는 실내의 적당한 조명에서 사용할 수 있고, 2000 안시 루멘 이상의 프로젝터는 강당 같은 넓은 공간에서 필요하다.


32. 애그노스틱 기술 (agnostic technology)

해당 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장치 애그노스틱 소프트웨어 기술의 경우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 어떤 장치는 상관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플랫폼 애그노스틱 소프트웨어 기술의 경우 운영체제나 프로세서 조합에 관계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33. 암호 키 분배 (key distribution)

데이터의 송/수신 시 암호 기술의 적용을 위해 사용자 간에 암호 키를 공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특정 사용자들에게 분배되어 있는 암호 키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공유 비밀 키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34. 양자 암호 키 분배 (QKD; Quantum Key Distribution)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 키를 분배하고 관리하는 기술로, 두 시스템이 암호 알고리즘 동작을 위한 비밀 키를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해 양자 암호 키 분배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키 분배를 위해 얽힘 상태 광자 또는 단일 광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35. 양자 역학 (quantum mechanics)

현대 물리학의 한 분야로 양자론의 기초를 이루는 물리학이론의 체계이다. 양자 레벨의 물질과 에너지의 본질, 습성을 밝히는 현대 물리학의 한 분야이며, 인과법칙을 따르고 우연성을 배제하는 고전역학과는 달리 확률론적 입장을 취한다.